커리어 (수치모델, 인공지능, 파도, 해양 등)/운영체제 (윈도우, 리눅스 등)

Window subsystem for linux (WSL) 기본 명령어들: 설치, 제거, 도움말, 실행 시 디렉토리 설정 변경

바다와 별과 시 2025. 2. 21. 14:29

Window subsystem for linux (WSL) 기본 명령어들: 설치, 제거, 도움말, 실행 시 디렉토리 설정 변경

 

필자의 경우 기존 WSL이 설치되어 있었으나, 어느 특정 이유로 기존 설치되어 있던 WSL을 제거하고 새로 설치하고 싶어졌다. 그리하여 제거 과정부터 재설치 과정을 아래 내용에 다루어 보았다.

 

[ 기존 WSL 제거하기 ]

  • 명령 프롬프트 (command)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기존에 설치된 WSL 배포판을 확인
  • wsl --list --verbose

 

  • 확인된 배포판을 제고하고 싶다면 다음 명령어를 사용. 여기서 <DistributionName>은 제거하고 싶은 배포판의 이름임
  • wsl --unregister <DistributionName>
  • 상기 명령어는 배포판을 WSL에서 제거하지만, Window에 설치된 WSL 자체는 제거하지 않음

 

[ WSL 완전히 제거하기 ]

  • 제어판 > 프로그램 > 프로그램 및 기능 > Windows 기능 켜기/끄기로 이동
  • 목록에서 Windows Subsystem for Linux와 Virtual Machine Platform을 찾아 체크를 해제
  • 확인을 클릭하여 변경사항을 적용한 후 시스템을 재부팅

 

[ WSL 재설치하기 ]

  • Window를 다시 시작한 후, 명령 프롬프트 (command)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 다음 명령어를 입력
  • wsl --install
  • 상기 명령은 최신 버전의 WSL과 기본 Linux 배포판 (Ubuntu)를 설치함. 다른 배포판을 원한다면 Microsoft Store에서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음

 

[ WSL 실행 명령어 ]

  • Window를 다시 시작한 후, 명령 프롬프트 (command)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 다음 명령어를 입력
  • wsl –d <DistributionName>

 

[ WSL 도움말 명령어 ]

  • Window를 다시 시작한 후, 명령 프롬프트 (command)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 다음 명령어를 입력
  • wsl --help

 

[ WSL 실행 시 시작 디렉토리 설정 변경 ]

  • Window를 다시 시작한 후, 명령 프롬프트 (command)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WSL 실행 시 윈도우 저장 공간에서 “.bashrc” 라는 파일이 실행되며 WSL이 시작하게 된다.
  • “.bashrc” 파일은 필자의 경우 아래와 같은 디렉토리에 존재하였다.
  • C:\Users\<username>\AppData\Local\Packages\CanonicalGroupLimited.Ubuntu_79rhkp1fndgsc\LocalState\rootfs\home\<username>
  • 상기 경로에 존재하는 “.bashrc” 파일 맨 아래 부분에 아래 내용 (원하는 디렉토리 경로)을 추가 한 후 저장하면 WSL (.bashrc) 시작과 함께 원하는 디렉토리에서 시작하게 된다.
  • cd /mnt/e
  • “.bashrc” 파일을 찾기 어려우면 리눅스 환경에서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실행시켜 곧바로 “.bashrc” 파일에 원하는 경로를 삽입할 수도 있다.
  • echo "cd /mnt/e" >> ~/.bashrc

 

본 게시글은 관리자의 학습과 복습을 위한 것으로, 독자의 의견 제시, 피드백 등 보다 올바른 정보를 통해 언제든지 업데이트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