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iness Leaders and Economists Clash over Future Workplace Policies (기업 대표들과 경제학자들, 미래 직장 내 정책 놓고 충돌)
EBS 이현석의 귀가 트이는 영어 (2025년 3월 24일 월요일 방송분)
Business Leaders and Economists Clash over Future Workplace Policies
기업 대표들과 경제학자들, 미래 직장 내 정책 놓고 충돌
[ Part 1 ]
Recent discussions about remote work have intensified as business leaders push for a return to full-time office work.
최근 기업 경영진들이 풀타임 사무실 근무 복귀 정책을 추진하면서 원격 근무에 대한 논의가 달아오르고 있다.
They label work-from-home as a temporary pandemic privilege, with several major corporations announcing plans to implement stricter in-office policies.
이들은 재택근무가 팬데믹 기간 중 한시적인 특권이었다고 언급하며, 다수의 주요 기업들이 더 엄격한 사무실 근무 정책을 시행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These require employees to be present five days a week or increase the number of mandatory office days in hybrid arrangements.
이 정책에 따르면, 직원들은 주 5일 사무실 근무를 하거나 하이브리드 근무제의 경우 필수 사무실 출근 일수를 늘려야 한다.
[ Part 2 ]
However, labor economists argue that remote work has become a permanent feature of the modern workplace.
그러나 노동 문제 전문 경제학자들은 원격 근무가 이미 현대인들의 직장 생활에 고정된 특징으로 자리 잡았다고 주장한다.
Research indicates that while remote workdays have decreased from their pandemic peak, they have stabilized at three times pre-pandemic levels.
연구에 따르면, 원격 근무일은 팬데믹 기간 중 정점에서 감소하긴 했지만, 팬데믹 이전의 세 배 수준에서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Job listings continue to show significant remote and hybrid opportunities, suggesting a sustained transformation in workplace dynamics.
구인 공고를 보면, 여전히 상당한 원격 및 하이브리드 근무 기회들이 제공되고 있어서 직장 내 근무 형태에 역학적 변화가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 Part 3 ]
The push for office returns might have underlying motives beyond cultural concerns, as some view it as a subtle method for workforce reduction.
사무실 근무 복귀에 대한 고용주들의 압박은 근무 형태 문화와 관련된 우려를 넘어 숨은 동기가 있을지도 모른다. 일각에서는 인력 감축을 위한 미묘한 수단으로 보고 있다.
Economic research suggests that remote work arrangements can be financially beneficial for companies by maintaining productivity levels while reducing employee turnover.
경제학 연구들에 따르면, 원격 근무 형태는 직원 이직률을 줄이면서도 기업의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어 기업에 재정적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economic advantage indicates that flexible work arrangements will likely persist despite opposition.
이러한 경제적 이점은 유연 근무제가 반대 의견에도 불구하고 향후 지속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 본 게시글에 대한 구독자의 의견 제시, 댓글, 공감 등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자료 출처]
○ 입트영 (2025년 3월호)
○ 이미지
- https://www.economist.com/leaders/2020/09/12/is-the-office-finished
- https://online.hbs.edu/blog/post/strategies-for-conflict-resolution-in-the-workpl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