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act of Tariffs and How They Work (관세의 영향력과 작동 원리)
EBS 이현석의 귀가 트이는 영어 (2025년 4월 14일 월요일 방송분)
The Impact of Tariffs and How They Work
관세의 영향력과 작동 원리
[ Part 1 ]
The Trump administration has swiftly implemented new tariffs on several nations, temporarily suspending some while maintaining others at varying rates.
트럼프 행정부가 여러 국가에 대한 새로운 관세를 신속하게 시행하며 일부에 대해서는 일시적으로 유예하고 경우에 따라 각국의 세율을 유지하는 조치를 발표했다.
These import levies aim to address immigration concerns and stem illegal substance flows across borders.
이번 수입 관세는 이민 문제에 대응하고 국경을 통한 불법 약물 유입을 차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The policy shifts have prompted widespread discussions about their effectiveness and potential economic implications.
이러한 정책 변화는 실효성과 경제에 미칠 잠재적 영향을 둘러싼 광범위한 논쟁을 일으키고 있다.
[ Part 2 ]
Tariffs function as import taxes collected by customs authorities and directed to the national treasury.
관세는 세관 당국이 징수하여 국고로 귀속하는 수입세이다.
While historically serving as a primary revenue source before income taxation, they now represents a meager portion of federal income.
과거 소득세 도입 이전에는 국가의 주요 재원 역할을 했으나, 현재는 연방 정부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미미한 수준이다.
These costs typically get passed through the supply chain to end consumers, particularly affecting industries with slim profit margins like groceries and fuel.
이러한 비용을 일반적으로 공급망을 통해 최종 소비자에게 전가되며, 특히 이윤 폭이 적은 식료품 및 연료 산업 등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 Part 3 ]
Recent *retaliatory measure from affected countries have highlighted the complex nature of international trade relationships.
타격을 입은 일부 국가들의 최근 보복 조치는 국제 무역 관계의 복잡한 특성을 여실히 드러냈다.
*Retaliatory: [ 영어식 의미 ] Done as a response to a harmful action; intended to punish or get back at someone. [ 한글식 의미 ] 1) 어떤 해로운 행동에 대한 '보복' 또는 '응징'의 의미로 사용됨 2) 상대방의 공격, 제재, 비난 등에 대해 대응하거나 복수하려는 의도로 이루어진 행동을 지칭함 [ 예문 ] 1) The country launched a retaliatory strike after the border was attacked. (국경이 공격당한 후, 그 나라는 보복 공격을 감행했다.) 2) She received a warning after sending a retaliatory email to her colleague. (그녀는 동료에게 보복성 이메일을 보낸 후 경고를 받았다.) |
Experts suggest that maintaining low tariff rates benefits domestic consumers by keeping prices inexpensive on everyday items.
전문가들은 낮은 관세율을 유지하는 것이 생필품 가격을 낮게 유지해 국내 소비자들에게 유익하다고 지적한다.
The current approach reflects a belief in tariffs as a tool for achieving both economic and policy objectives, though their effectiveness remains to be seen.
이번 정책은 관세를 경제 및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하려는 전략을 반영하지만, 그 실효성에 대해서는 아직 지켜봐야 할 상황이다.
※ 본 게시글에 대한 구독자의 의견 제시, 댓글, 공감 등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자료 출처]
○ 입트영 (2025년 4월호)
○ 이미지
- ChatGPT 생성 이미지
- https://www.forbes.com/sites/karadennison/2025/03/25/the-impact-of-new-tariff-policies-and-how-to-prepare-as-a-job-seek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