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게시글은 2022년 1월 3일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방송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음
○ 실질금리란 무엇인가?
실질금리 = 명목금리 – 물가상승률
여기에서 명목금리는 ‘시장금리’라고도 볼 수 있는데, 이는 다시 ‘10년 국고채 수익률 (장기 시장금리)’로도 볼 수 있다. 장기 시장금리는 미래 경제성장률을 반영한다. 예를 들면, 시장금리가 올라간다는 의미는 미래 경제성장률도 상승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이 글의 작성시점인 2022년 1월 24일 기준으로 10년 국고채 금리는 2.2%이고, 소비자물가상승률은 2.5%이므로, 실질금리는 –0.3%로 마이너스가 되는 셈이다.
현재 1) 실질금리가 마이너스이고, 2) 시장금리 (10년 국고채 금리)가 하락하고 있다는 의미는 앞으로 경제성장률이 감소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 통계청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
경제성장률 추세는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앞으로 8개월 가량의 경제성장률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는데, 2021년(작년) 6월 이후 감소하는 추세로 들어섰다. 이는 조만간 동행지수 순환변동치의 하락으로 이어질 것이며 이는 경제성장률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 저금리의 의미
- 현재 저금리 상태라는 의미는 자본이 시중은행이 아니라, 부동산 또는 주식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는 의견이 있음
- 앞으로 경제성장률이 감소할 것이라는 의견도 있음: 실질금리가 마이너스, 명목금리가 마이너스라는 것은 앞으로 경제성장률의 감소와 일자리가 감소하고 임금도 덜 오를 것이라는 예측을 해볼 수 있음
[참고자료]
- 이진우의 손에잡히는 경제(2022년 1월 3일 방송분): 게스트: 서강대 경제대학원 김영익 교수님
- 10년 국고채 금리 확인 사이트: 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73¶m=005
- 소비자물가상승률 확인 사이트: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4226
- 통계청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 확인 사이트: 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