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 (수치모델, 인공지능, 파도, 해양 등)/운영체제 (윈도우, 리눅스 등) 2

Window subsystem for linux (WSL) 기본 명령어들: 설치, 제거, 도움말, 실행 시 디렉토리 설정 변경

Window subsystem for linux (WSL) 기본 명령어들: 설치, 제거, 도움말, 실행 시 디렉토리 설정 변경 ※ 필자의 경우 기존 WSL이 설치되어 있었으나, 어느 특정 이유로 기존 설치되어 있던 WSL을 제거하고 새로 설치하고 싶어졌다. 그리하여 제거 과정부터 재설치 과정을 아래 내용에 다루어 보았다. [ 기존 WSL 제거하기 ]명령 프롬프트 (command)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기존에 설치된 WSL 배포판을 확인wsl --list --verbose 확인된 배포판을 제고하고 싶다면 다음 명령어를 사용. 여기서 은 제거하고 싶은 배포판의 이름임wsl --unregister 상기 명령어는 배포판을 WSL에서 제거하지만, Window에 설치된 WSL 자체는 제거하지..

vi 에디터 사용 방법

vi 에디터 사용 방법 [ ‘vi’란 무엇인가 ]리눅스 에디터로는 대표적으로 vi와 vim이 있음vim은 vi improved의 약자로, vi를 보다 편리하게 향상시킨 것이라고 함vim과 vi의 가장 큰 차이는 vim은 에디터 상에서 화살표 방향키로 커서의 이동이 가능하지만, vi는 방향키가 아닌 h,j,k,l 키를 이용해서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고 함  [ ‘vi’의 세 가지 모드 ]‘vi’ 에디터는 기본적으로 명령 모드, 입력 모드, 콜론 모드가 있음 명령 모드 (command mode) : vi를 실행시키면 가장 먼저 접하는 모드로 커서의 이동, 수정, 삭제, 복사 등을 수행함입력 모드 (insert mode) : 입력 모드 전환키인 i, a, o, I, A, O 등을 입력하면 입력 모드로 전환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