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트영

The Success Story behind “Grammarly” (그래머리의 성공 비화)

바다와 별과 시 2025. 4. 16. 14:21

EBS 이현석의 귀가 트이는 영어 (2025421일 월요일 방송분)

 

The Success Story behind “Grammarly”

그래머리의 성공 비화

[ Part 1 ]

Three developers from Ukraine launched writing assistance software company Grammarly, which evolved into a $13 billion enterprise.

세 명의 우크라이나 출신 개발자가 설립한 문서 작성 지원 소프트웨어 회사 그래머리130억 달러 규모의 기업으로 성장했다.

 

Their venture began after selling their first startup, a plagiarism detection tool, and investing nearly all proceeds into developing their new ambitious project.

그 벤처의 첫 번째 스타트업인 표절 감지 도구를 매각한 후, 그 수익금 중 대부분을 야심 찬 신사업 개발에 투자하면서 시작됐다.

 

The founders faced widespread skepticism about their product’s viability and technical feasibility during the early stages of development.

창립자들은 개발 초기에는 제품의 시장성과 기술적 실현 가능성에 대해 만연한 회의적 시각에 맞닥뜨렸다.

 

[ Part 2 ]

They operated without salaries for three years while *bootstrapping their company, relying entirely on initial sales revenue to fund ongoing development.

창업자들은 진행 중인 개발 자금을 전적으로 초기 매출에 의존하는 등 3년간 급여 없이 일하며 자력으로 회사를 운영했다.

*Boostrapping:
[ 영어식 의미 ]
Starting a business or project with minimal external help or capital, typically relying on personal resources, internal cash flow, or reinvested profits.
[ 한글식 의미 ]
1) 외부 투자나 지원 없이 자력으로 사업이나 프로젝트를 시작하고 운영하는 방식
2) 창업자가 본인의 자금, 초기 수익 등을 활용해 점진적으로 비즈니스를 성장시키는 행위
[ 예문 ]
1) The startup survived its first two years by bootstrapping, using only the founders’ savings.
(그 스타트업은 창업자들의 저축만으로 자금을 충당하며 처음 2년을 자력으로 운영했다.)
2) Many small businesses begin by bootstrapping before attracting any outside investors.
(많은 소규모 사업체는 외부 투자자를 유치하기 전까지 자력으로 운영을 시작한다.)

 

To validate their market potential, they employed creative testing methods, including a mock website to gauge consumer interest.

회사의 상업성을 검증하기 위해 가상의 웹사이트를 개설해 소비자 관심도를 가늠해 보는 등 창의적인 테스트 방법을 동원했다.

 

These early positive indicators provided the confidence to proceed despite significant financial constraints.

이러한 초기의 긍정적인 반응들을 확보함으로써 상당한 재정적 부담에도 불구하고 사업을 지속할 자신감을 얻었다.

 

[ Part 3 ]

Their persistence through multiple near-bankruptcy experiences eventually paid off when they adopted a freemium business model, leading to explosive user growth.

수차례의 파산 위기를 넘긴 끝에 일부 기능을 유료로 제공하는 프리미엄 비즈니스 모델을 도입한 것이 폭발적인 사용자 증가로 이어지며 비로소 노력에 대한 보상을 받았다.

 

The company reached a million daily users by 2015 and continues to expand its reach in the writing assistance market.

2015년에는 하루 사용자 수가 100만 명에 달했고 작문 지원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

 

With recent advances in AI technology, they are positioned to further shake up written communication.

최근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그래머리는 문서 소통 분야에서 더욱 혁신적인 변화를 주도할 입지를 갖추고 있다.

 

본 게시글에 대한 구독자의 의견 제시, 댓글, 공감 등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자료 출처]

입트영 (20254월호)

이미지

  • ChatGPT 생성 이미지
  • https://sybershel.com/max-lytvyn-and-alex-shevchen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