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트영

The Soaring Cost of Concert Tickets (치솟는 콘서트 푯값)

바다와 별과 시 2025. 3. 31. 18:58

EBS 이현석의 귀가 트이는 영어 (202543일 목요일 방송분)

 

The Soaring Cost of Concert Tickets

치솟는 콘서트 푯값

[ Part 1 ]

Despite significant price increases in live entertainment since 2021, music enthusiasts continue to demonstrate remarkable resilience in their spending habits.

2021년 이후 라이브 공연 비용이 급등함에도 불구하고, 음악 팬들의 소비 습관이 지속적으로 놀라운 저력을 보이고 있다.

 

The phenomenon, dubbed funflation, has seen concert admission prices surge by twenty percent, yet attendance rates remain strong.

콘서트 입장권 가격이 20% 급등했음에도 불구하고 관객 수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 유지되고 있는 이 같은 현상을 펀플레이션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The unwavering commitment to live music experiences is reflected in consumers’ willingness to spend hundreds of dollars on performances.

라이브 음악을 즐기려는 변함없는 열정은 소비자들이 공연에 수백 달러를 기꺼이 지출하는 모습에서 잘 드러난다.

 

[ Part 2 ]

The rise in ticket prices can largely be attributed to dynamic pricing, a practice that adjusts costs based on demand.

수요에 따라 가격을 조정하는 동적(탄력적) 가격 책정이 티켓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This pricing model, while controversial, has become increasingly prevalent in the concert industry, leading to heightened awareness and discussions among fans.

여러 논란에도 불구하고 이 같은 가격 책정 모델이 콘서트 업계에서 점점 보편화되자, 팬들의 관심과 갑론을박이 고조되고 있다.

 

Some artists *have opted out of this strategy to maintain accessibility for their ardent fans.

일부 아티스트들은 열혈한 팬들의 접근성을 유지하기 위해 이러한 전략을 거부하는 행보를 보이기도 했다.

*Opt out:
[ Opt out의 대표적인 뜻 ]
1) (어떤 활동, 프로그램, 서비스 등에) 참여하지 않기로 선택하다
[ 예문 ]
1) She decided to opt out of the school trip because she was feeling sick.
(그녀는 몸이 안 좋아서 학교 소풍에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
2) You can opt out of receiving marketing emails at any time.
(언제든지 마케팅 이메일 수신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Opt in:
[ Opt in의 대표적인 뜻 ]
1) (어떤 활동, 프로그램, 서비스 등에) 참여하기로 선택하다
[ 예문 ]
1) Users must opt in to receive notifications from the app.
(사용자는 앱의 알림을 받기 위해 동의해야 한다.)
2) He opted in to the new health insurance plan offered by the company.
(그는 회사에서 제공한 새로운 건강 보험에 가입하기로 했다.)

 

[ Part 3 ]

The trend appears to be driven by a post-pandemic shift in consumer attitudes, with many adopting a “you only live once” mindset toward entertainment spending.

팬데믹 이후 많은 사람들이 즐길 거리 지출에 대해 인생은 한 번뿐이라는 사고방식을 채택하는 등 소비 태도의 변화로 인해 어리헌 트렌드가 동력을 얻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Industry research suggests that concerts remain a top priority for discretionary spending.

업계 연구 결과에서도 콘서트가 여전히 최우선적인 선택 지출 항목으로 꼽히고 있다.

 

This behavior indicates that elevated prices may persist as the new normal.

이러한 행동 방식은 티켓 가격 상승이 새로운 표준으로 지속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게시글에 대한 구독자의 의견 제시, 댓글, 공감 등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자료 출처]

입트영 (20254월호)

이미지

  • https://www.globalbrandsmagazine.com/the-soaring-cost-of-concert-tickets/
  • https://www.dailymail.co.uk/tvshowbiz/article-11445289/Following-Taylor-Swift-tour-sales-debacle-list-performers-soaring-ticket-costs.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