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이현석의 귀가 트이는 영어 (2025년 4월 10일 목요일 방송분)
Could Climate Change Lead to a Colder Northwestern Europe?
기후 변화가 유럽 북서부를 더 춥게 만들 수 있을까?
[ Part 1 ]
Scientists are investing a concerning possibility where global warming could paradoxically result in plummeting temperatures across northwestern Europe.
지구 온난화가 역설적으로 유럽 북서부 전역의 기온을 급락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스러운 가능성에 대해 과학자들이 조사하고 있다.
The phenomenon centers around a vital ocean current system that transports warm water from tropical regions northward, keeping temperatures milder than they would typically be.
이 현상은 열대 지역에서 북쪽으로 따뜻한 물을 운반하여 기온이 일반적 상황보다 더 온화하게 유지되게 하는 중요한 해류 시스템이 그 중심에 있다.
Evidence suggests this circulation has already weakened considerably over recent centuries.
이 순환이 최근 수 세기 동안 이미 상당히 약화되었다는 단서가 발견되고 있다.
[ Part 2 ]
Research indicates that climate change might be making northern waters less salty due to increased rainfall and melting ice sheets, potentially disrupting the current’s normal flow.
연구에 따르면, 기후 변화로 인해 강수량 증가와 빙하의 융해로 북부 해양의 염도가 감소되는 중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해류의 정상적인 흐름이 방해받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While experts don’t expect an immediate collapse of this system, recent studies suggest growing possibilities of reaching a critical tipping point.
전문가들은 이 시스템이 당장 붕괴될 것으로 예상하지는 않지만, 최근 연구 결과들은 중요한 임계점에 이르게 될 가능성이 커짐을 시사하고 있다.
These concerns have *provoked scientists to call for greater recognition of the underestimated risks.
이런 우려에 따라 과학자들은 이와 같은 위험이 과소평가되고 있다며 경각심을 촉구하고 있다.
*Provoke: [ 영어식 의미 ] To cause a reaction or feeling, especially a strong or negative one such as anger or annoyance [ 한글식 의미 ] 1) 어떤 반응(특히 분노나 짜증 등 강한 감정)을 유발하거나 불러일으키는 것을 의미함 2) 사람을 자극하거나 행동을 유도하는 상황에서 많이 사용됨 [ 예문 ] 1) His rude comments provoked laughter instead of anger. (그의 무례한 발언은 분노보다는 웃음을 자아냈다.) 2) The decision to raise prices provoked criticism from customers. (가격 인상 결정은 소비자들의 비난을 불러일으켰다.) |
[ Part 3 ]
A significant weakening of this current system could have far-reaching consequences beyond just temperature changes.
이 해류 시스템이 크게 약화되면 단순한 기온 변화 이상의 광범위한 영향(결과)을 초래할 수 있다.
Such an event could trigger humanitarian crises by disrupting monsoon patterns in various regions globally.
그런 일은 전 세계 다양한 지역에서 우기 패턴을 방해하여 인도적 위기 상황을 촉발할 위험이 있다.
Experts emphasize that reducing emissions remains crucial for minimizing these risks and preventing potential catastrophic outcomes.
전문가들은 이러한 위험을 최소화하고 재앙적인 결과의 가능성을 막기 위해 여전히 온실가스 배출을 반드시 줄여야 한다고 강조한다.
※ 본 게시글에 대한 구독자의 의견 제시, 댓글, 공감 등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자료 출처]
○ 입트영 (2025년 4월호)
○ 이미지
- https://globalindices.indianapolis.iu.edu/environment-index/historical-data/regions/northern-western-europe/index.html
- https://www.preventionweb.net/news/weather-v-climate-how-make-sense-unusual-cold-snap-while-world-hotter-e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