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트영

The Rise of Digital Grief Support Apps (디지털 애도 지원 앱의 부상)

바다와 별과 시 2025. 4. 4. 14:20

EBS 이현석의 귀가 트이는 영어 (202549일 수요일 방송분)

 

The Rise of Digital Grief Support Apps

디지털 애도 지원 앱의 부상

[ Part 1 ]

A new wave of grief support application is popping up, offering personalized *bereavement assistance through virtual support groups and AI features.

최근 애도 지원을 돕는 새로운 유형의 애플리케이션이 등장하여 가상 협력 단체와 AI 기능을 통해 개인 맞춤형 애도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Bereavement:
[ Bereavement의 대표적인 뜻 ]
1) The state of having lost a loved one, especially due to death; the period of mourning after a loss
2) 주로 가까운 사람의 사망으로 인한 상실과 슬픔을 의미하는 단어임
3) 일반적으로 가족이나 친한 사람의 죽음을 애도하는 기간이라는 뜻으로 많이 사용됨
[ 예문 ]
1) She took a few days off work to cope with her bereavement.
(그녀는 사별의 슬픔을 이겨내기 위해 며칠간 휴가를 냈다.)
2) Bereavement can have a deep emotional impact on a person.
(사별은 사람에게 깊은 정서적 영향을 줄 수 있다.)

 

These platforms aim to *democratize access to grief support by providing users with therapeutic tools and community connection.

이 같은 플랫폼은 사용자들에게 치유 도구 및 공동체 소통을 제공해 애도 지원의 접근성을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Democratize:
[ Democratize의 대표적인 뜻 ]
1) To make something accessible to everyone; to make a system, process, or institution more democratic or open to all.
2) 어떤 것을 더 많은 사람들에게 개방하거나 접근 가능하게 만든다는 의미로 사용됨
3) 원래는 정치적 맥락(민주화)에서 시작된 단어지만, 지금은 기술, 정보,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대중화' 혹은 '접근성 확대'의 의미로 널리 쓰임
[ 예문 ]
1) The internet has helped democratize access to information.
(인터넷은 정보 접근을 대중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2) New technologies are democratizing education around the world.
(신기술은 전 세계적으로 교육을 대중화하고 있다.)

 

The apps maintain a carefully designed aesthetic while helping users handle post-death paperwork and emotional challenges.

디자인에도 세심하게 신경을 쓴 이 앱들은 사용자들이 사망 이후의 서류 절차 및 정서적 고충을 처리하는 걸 지원한다.

 

[ Part 2 ]

While these apps have proven beneficial for many users, they also raise privacy concerns.

이 앱들은 많은 사용자들에게 유용한 도구로 입증되었으나,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The collection of sensitive personal data, including mental health information and financial details, has prompted experts to question the implications of digitalizing vulnerable moments.

정신 건강 정보 및 상세 금융 정보 등을 포함한 민감한 개인 정보 수집으로 인해 전문가들은 취약한 시점의 디지털화가 어떤 파급 효과를 일으킬지 의문을 제기한다.

 

This growing digital trend has sparked debates about data security and user protection in the grief support space.

이 같이 커져 가는 디지털 트렌드로 인해 애도 지원 분야에서 정보 보안 및 사용자 보호에 대해 논쟁이 점화되었다.

 

[ Part 3 ]

Some mental health professionals see potential in these digital tools but emphasize they should complement rather than replace traditional support systems.

일부 정신 건강 전문가들은 이러한 디지털 도구의 잠재력을 인정하면서도, 전통적인 지원 시스템을 대체하기보다는 보완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The effectiveness of these platforms varies among users, with some finding comfort, while others feel the technology creates a barrier to genuine human connection.

일부 사용자는 위안을 얻지만, 기술 도입으로 인해 진정한 인간적 교감에 장애가 생긴다고 느끼는 이들도 있어 이러한 플랫폼의 효과는 사용자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The debate continues over whether streaming the mourning process truly serves those in grief.

애도 과정의 간소화가 애도하는 이들에게 진정으로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본 게시글에 대한 구독자의 의견 제시, 댓글, 공감 등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자료 출처]

입트영 (20254월호)

이미지

  • https://www.positivemindworks.co/grief-and-loss-in-the-digital-age/
  • https://www.bbc.com/future/article/20250123-the-apps-turning-grief-into-data-poi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