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이현석의 귀가 트이는 영어 (2025년 5월 2일 금요일 방송분)
Warning Signs of Gaslighting in Relationships
인간관계에서 가스라이팅의 경고 신호들

[ Part 1 ]
Gaslighting in romantic relationships can severely damage one’s self-confidence by causing victims to question their own judgment.
연인 사이의 가스라이팅은 피해자가 자신의 판단력을 의심하게 하여 자신감을 심각하게 훼손할 수 있다.
This manipulative behavior typically begins subtly, alternating with affectionate gestures that create confusion, according to leading psychologist Vanessa Kennedy.
선도적인 심리학자 바네사 케네디는 이처럼 상대방을 조종하려는 행동은 주로 눈에 띄지 않게 시작되며, 다정한 제스처와 번갈아 나타나며 혼란을 유발한다고 설명한다.
Early warning phrases include “I was trying to help you” after making hurtful comments, which disguises criticism as care.
상처를 주는 말을 한 후 “널 도와주려고 했던 거야”라고 말하며 비판을 마치 배려인 것처럼 포장하는 것을 초기 경고 신호로 꼽을 수 있다.
[ Part 2 ]
Potential gaslighters also frequently use statements like “You’re being sensitive” to make partners doubt their emotional responses to harmful behavior.
또한 잠재적인 가스라이팅 가해자는 “넌 예민해” 등의 말을 자주 하며 상대방이 유해한 행동에 대한 자신의 감정 반응을 의심하게 만든다.
They systematically minimize concerns when *confronted to explain their actions.
이들은 자신의 행동에 대한 질문을 받으면 상대방의 우려를 체계적으로 축소시키기도 한다.
*Confront : [ 영어식 의미 ] To face someone or something, especially in a challenging, difficult, or threatening situation; also used to describe addressing problems or issues directly. [ 한글식 의미 ] 1) 특히 어려운 상황이나 위협적인 상황에서 누군가 또는 무언가와 직접 마주하거나 맞서는 것 2) 문제나 이슈를 회피하지 않고 정면으로 다루는 것을 의미 [ 예문 ] 1) The police had to confront the protesters during the demonstration. (경찰은 시위 도중 시위대와 마주해야 했다.) 2) The company must confront its financial problems before they get worse. (회사는 재정 문제를 악화시키기 전에 정면으로 해결해야 한다.) |
These patterns indicate that someone might currently lack the capacity for heathy partnership dynamics, especially when victims feel belittled after expressing their feelings.
이러한 패턴은 가해자가 건강한 파트너 관계를 유지할 능력이 부족한 상태라는 신호일 수 있으며, 특히 피해자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한 뒤에도 무시당한다는 느낌을 받을 때 그렇다.
[ Part 3 ]
Harvard professor Alison Wood Brooks offers a practical approach for healthier conflict resolution in her book about conversation.
하버드 대학교 소속 앨리슨 우드 브룩스 교수는 대화 관련 저서에서 보다 건강한 갈등 해소를 위한 실용적인 접근법을 제안한다.
Effective communicators repeat what they’ve confirm understanding, validate their partner’s feelings despite disagreements, and calmly explain their perspective afterward.
효과적으로 소통하는 사람들은 먼저 상대방의 말을 번복해 이해를 확인하고, 의견이 다르더라도 상대의 감정을 인정하며, 이후 차분하게 자신의 관점을 설명한다.
This method focuses on resolution rather than denial, demonstrating readiness to handle inevitable relationship miscommunications constructively.
이 같은 방법은 부인이나 거부가 아닌 해결에 집중하기 때문에 관계에서의 불가피한 오해들을 건설적으로 풀어 나갈 준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준다.
※ 본 게시글에 대한 구독자의 의견 제시, 댓글, 공감 등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자료 출처]
○ 입트영 (2025년 5월호)
○ 이미지
- ChatGPT 생성 이미지
- https://mind.help/topic/gaslighting/